본문 바로가기
728x90

배우고 익히자/윤리와 사상4

윤리와 사상 II-02 유교와 인의 윤리, 순자 II.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02. 유교와 인의 윤리 III. 유교 사상의 연원 (순자) 1. 성악설 (본성) (1) 본성 @이기적 욕구이자 욕망(사양 X, 양보 X) @사회적 재화의 한정으로 인한 갈등으로 다툼(혼란) 발생 @누구나 선천적으로 도덕(선)을 인식하고 실천하는 능력 있음 @화성기위: 후천적 노력(=위 =인위 =작위, '예' 교육)을 통해 본성 변화 가능 @선(도덕): 인위적으로 일으켜지는 것 2. 심화 (1) 본성 1) 천연(하늘에 의해 이루어짐, 선천적) 2) 사람의 힘으로 본성을 만들어 낼 수 없음 ex. 성인과 일반 백성 본성: 동일(맹자, 순자 공통점) 본성 변화 여부: 성인-변화(선), 일반 백성-동일 3. 예(예치) (1) 예 @고대 성왕 제정(본성에서 비롯됨) @외면적 사회 .. 2023. 3. 26.
[윤리와 사상] II-02 유교와 인의 윤리, 맹자 II.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02. 유교와 인의 윤리 III. 유교 사상의 연원 (맹자) 1. 성선설 (본성) : 모든 사람의 본성은 동일하게 선하다. (1) 본성 @선천적인 것(from. 하늘) @양지: 도덕적 인식 @양능: 실천 능력 @불인인지심(차마 어쩌지 못하는 마음) → 사단(도덕적 마음, 도덕적 가능성) 확충 @사단(측은지심, 사양지심, 수오지심, 시비지심)은 사덕(인, 의, 예, 지)의 단서 (2) 인의의 덕 @인: 사람의 마음, 거처(집) - 사랑 @예: 사람의 길 - 사회 정의 1) 집의('의' 반복) 2) 호연지기(대장부, 대인) (3) 사단의 보존 및 확충(수기, 수신) @본성은 선함 but, 사욕(후천적 환경)에 의한 악행 가능성 인정 @인위적이고 후천적인 노력을 강조 2. 심화 .. 2023. 3. 22.
[윤리와 사상] II-02 유교와 인의 윤리, 공자 II.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02. 유교와 인의 윤리 III. 유교 사상의 연원 (공자) 1. 인과 예 (1) 인(仁): 선천적(내재적) 도덕성(≠획득, ≠형성) @인-성격-사랑(정신)-분별(별애)/인간다움의 본질 @분별: 1) 무조건적 (아가페적) 사랑 X 2) 존비친소 O, 시비선악 O ex) 오직 어진 사람(사리사욕 X)만이 남을 사랑하고 미워할 수 있다. @인간다움의 본질: 1) 살신성인 2) 아침에 '도'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. @선천적(내재적) 도덕성의 표현: 1) 시작: 효제 도덕적 실천의 시작 가족→이웃→사회→국가로 확대 2) 실천 덕목: 충서 충: 정성을 다함(속임수 X) 서: 공감(내가 이루고자 하면 다른 사람 먼저 이루게 함, 내가 싫은 일 다른 사람에게 시키지 X) (2) .. 2023. 3. 21.
[윤리와 사상] I-01 인간과 윤리 사상 2024 사회탐구영역 윤리와 사상 수능특강 EBS 최양진t(심화)를 통해 공부한 내용입니다. I. 인간과 윤리 사상 01. 인간과 윤리 사상 I. 인간의 특성 1. 인간과 윤리 사상 -이성적 존재: 이성을 통해 자신과 세계를 이해함 -도구적 존재: 유/무형의 도구를 제작 및 사용함 (ex. 합리적 제도로 현실 문제를 해결 및 개선) -유희적 존재: 재미와 즐거움을 추구하며 놀이활동을 함 (ex.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삶의 재미 자체를 추구) -사회적 존재: 사회 속에서 타인과 더불어 살아감 -문화적 존재: 다양한 문화(언어, 예술 등) 창조 및 계승 -종교적 존재: 초월자(절대자)를 믿음 -윤리적 존재: 반성과 성찰을 통해 삶을 개선함 -서사적 존재(new): 공동체의 맥락(역사, 문화, 관습) 속에서 정.. 2023. 3. 20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