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II.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02. 유교와 인의 윤리
III. 유교 사상의 연원 (맹자)
1. 성선설 (본성)
: 모든 사람의 본성은 동일하게 선하다.
(1) 본성
@선천적인 것(from. 하늘)
@양지: 도덕적 인식
@양능: 실천 능력
@불인인지심(차마 어쩌지 못하는 마음) → 사단(도덕적 마음, 도덕적 가능성) 확충
@사단(측은지심, 사양지심, 수오지심, 시비지심)은 사덕(인, 의, 예, 지)의 단서
(2) 인의의 덕
@인: 사람의 마음, 거처(집) - 사랑
@예: 사람의 길 - 사회 정의
1) 집의('의' 반복)
2) 호연지기(대장부, 대인)
(3) 사단의 보존 및 확충(수기, 수신)
@본성은 선함 but, 사욕(후천적 환경)에 의한 악행 가능성 인정
@인위적이고 후천적인 노력을 강조
2. 심화
@대체(도덕적 마음) - 대인, 소체(감각적 욕구) - 소인 → 선천적
ex. 인의는 대인의 본성, 식색은 소인의 본성이다. ( X )
3. 왕도정치
@덕치 계승
@불인인지심 - 불인인지정
ex. 항산(생업)/항심(도덕적 마음)
일반 백성: 항산 X → 항심 X
선비: 항산 X → 항심 O
ex. 선) 생명 보장 → 후) 도덕적 교화
@민본주의
1) 민귀군경(백성이 귀하고, 사직이 다음, 군주는 가볍다.)
2) 역성혁명: 폭군 교체의 정당성 주장
728x90
'배우고 익히자 > 윤리와 사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윤리와 사상 II-02 유교와 인의 윤리, 순자 (0) | 2023.03.26 |
---|---|
[윤리와 사상] II-02 유교와 인의 윤리, 공자 (0) | 2023.03.21 |
[윤리와 사상] I-01 인간과 윤리 사상 (0) | 2023.03.20 |